전세계 항공사들 죽쑤는데...대한항공 기적같은 흑자전세계 항공사들 죽쑤는데...대한항공 기적같은 흑자
코로나 사태로 전 세계 항공업계가 붕괴 위기에 내몰린 가운데, 대한항공이 2분기 영업 흑자를 기록했다.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글로벌 주요 항공사 가운데 흑자를 낸 항공사는 대한항공이 유일하다.
대한항공, 글로벌 항공사 중 유일하게 흑자
대한항공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올 2분기 14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1015억원) 대비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대한항공은 1분기에는 566억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대한항공의 영업 실적을 견인한 것은 화물이었다. 대한항공은 2분기 매출이 1조6909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01억원) 대비 44% 줄었다. 여객 부문은 전 노선의 승객 감소로 수송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92.2% 감소했다. 하지만 화물 부문 매출이 작년보다 94.6% 늘어난 1조2259억원을 기록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화물 부문 실적에 힘입어,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세계 주요 항공사 중 거의 유일하게 흑자를 낸 글로벌 항공사가 됐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2분기 당기순이익도 162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2분기 달러 약세로 외화 부채, 이자 비용 등 부담이 줄면서 외화 환차익이 전년 동기 대비 4027억원 증가해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항공사들은 여전히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의 아메리칸항공은 2분기 21억달러(약 2조5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16억달러(1조8000억원), 델타항공은 57억달러(6조7000억원)의 손실을 냈다. 일본항공도 같은 기간 937억엔(약 1조600억원)의 손실을 봤다.
여객기, 화물기로 개조해 승부수
위기 상황에서 대한항공이 위기에서 꺼낸 승부수가 화물이었다. 코로나 여파로 여객기 운항이 급감하자, 항공 화물을 보내야 하는 화주(貨主)들은 비행편을 구하기 어려웠다. 전 세계 항공 화물의 절반 정도는 승객이 타는 여객기의 화물칸(벨리 카고)을 이용해 보낸다. 대한항공은 지난 6월부터 여객기 좌석 칸에도 화물을 실어 날랐다. 여객기의 좌석 일부를 개조해 화물기처럼 운영한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며 하반기 실적은 장담할 수 없다. 대한항공은 방역 물품, 반도체 장비 등 화물을 적극 유치해 수익 극대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세계 항공사들 죽쑤는데...대한항공 기적같은 흑자
코로나 사태로 전 세계 항공업계가 붕괴 위기에 내몰린 가운데, 대한항공이 2분기 영업 흑자를 기록했다.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글로벌 주요 항..
news.chosun.com
대한항공, 여객기도 화물기로 개조…좌석 뜯는다
입력 2020.07.20 오전 11:54
국토부 승인 이후 8월부터 운항…조직 슬림화도 단행
[아이뉴스24 강길홍 기자] 대한항공이 여객기 좌석을 뜯어내 화물기로 개조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보잉 B777-300ER 여객기의 좌석을 뜯고 화물을 싣기 위한 개조를 진행 중이다.
지난달 11일부터 여객기 좌석에 카고시트백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화물을 운송하는데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카고시트백은 기내 좌석에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방이다.
대한항공은 여객기의 좌석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개조하면 카고시트백을 활용하는 것보다 화물 수송량이 10톤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화물기로 개조된 여객기는 8월부터 투입될 예정이다. 항공기 구조를 변경하게 되는 만큼 국토교통부의 승인과 제조사인 보잉사의 허가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항공의 이같은 시도는 코로나19 사태로 여객 수요가 급감한 가운데 항공 화물 운임은 상승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올해 2분기에는 여객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화물 부문의 선방으로 흑자전환도 기대된다.
코로나19로 감소된 여객 수요는 당분간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한항공은 화물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여객기의 좌석도 뜯어내고 있는 것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화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보잉 B777 여객기의 일부 좌석을 뜯어내고 화물 적재 공간을 만들고 있다"며 "구체적인 운항 계획은 국토부의 승인 이후에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최근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구주지역본부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동남아지역본부를 없애는 '조직 슬림화'에 나섰다. 해당 지역의 기능은 본사와 지점이 협업하는 체제로 대신할 계획이다.
"힘든 시기 올바른 결정으로 유일무하게 국내여행사 극복에 찬사를 보냅니다 "